본문 바로가기

Linux/Study

useradd 명령어 수행과정

useradd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3개의 파일(디렉토리)는 다음과 세가지이다
-/etc/default/useradd   ->  기본적으로 사용할 홈디렉토리와 사용할 쉘종류, 종료일자등...
-/etc/login.defs         ->  새로운 계정을 생성할 때에 반드시 참조하는 파일..
-/etc/skel/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>  새로운 계정 생성할 때 자동으로 복사되는 디렉토리.

새로운 사용자 생성시 수행 순서는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다.

① /etc/passwd 와 /etc/shadow 파일에 사용자를 추가
② 별도의 그룹을 지정하지 않았다면, 사용자명과 동일하게 /etc/group 파일에 그룹추가
③ 별도로 홈 디렉토리를 지정하지 않았다면 ‘/home/<사용자명>‘으로 디렉토리 생성
④ /etc/skel 디렉토리의 파일을 '/home/<사용자명>‘ 디렉토리에 복사

그러므로, 앞으로 생성될 사용자들에게 어떤 파일을 주고 싶다면 /etc/skel 디렉토리에 배포할 파일을 복사해 놓으면 된다.


사용자 계정 추가시 생성되는 디렉토리의 디폴트 퍼미션을 변경 하고 싶다면  /etc/login.defs 파일에 umask값을 지정해 주면 된다.
	예)  UMASK           076


주로 쓰이는 adduser 또는 useradd 명령어 옵션은 다음과 같다
adduser -d <홈 디렉토리><사용자명> 별도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지정
adduser -u <사용자 id><사용자명> 사용자 id를 순차번호가 아닌 임의로 지정
adduser -g <그룹명><사용자명> 별도의 그룹을 지정
adduser -s <셸 파일명><사용자명> /bin/bash 외의 별도의 셸을 지정
userdel <사용자명>        사용자 삭제
groupdel <그룹명>        그룹삭제
위 명령어로 /etc/group, /etc/shadow, /etc/shadow 파일을 확인해보면 해당되는 정보가 삭제 모두 삭제되어 있을것이다. 하지만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는 그대로 남아 있을 것이다. 이 디렉토리까지 한꺼번에 삭제 하고자 하면 ‘userdel -r <사용자명>’ 을 하면 된다

'Linux >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rontab 기본 설정 명령어  (0) 2008.10.09
리눅스 디렉토리별 개괄적 요약  (0) 2008.10.09
소유권  (0) 2008.10.09
RPM  (0) 2008.10.09
cron과 at  (0) 2008.10.09